티스토리 뷰
칠레 와인의 역사, 칠레 와인 지역, 칠레 와인의 특징 등 칠레 와인의 모든 것!
동쪽의 안데스 산맥과 해안 산맥 사이에 끼어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긴 국가이기도 한 칠레의 포도 재배 면적은 약 17.4만 ha이며 연간 와인 생상량은 무려 640만 hl라고 합니다.
칠레 와인의 시작은?
16세기부터 선교사들이 포도를 심고 와인을 만들었으나 1800년대 프랑스에서 수입을 하면서 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세기 필록세라 사건이 터지며 필록세라를 피해 온 프랑스 기술을 받아들이고 발전시켜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보다는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와인을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1938년 포포 밭 조성 정부에서 금지하여 침체기에 들어섰지만 1980년대에 스틸 탱크에서 와인을 발효시키면서 신 기술을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칠레의 주요 품종은?
1. 레드 와인 - 까베르네 쏘비뇽, 빠이스, 메를로, 삐노 누아르, 씨라 등등
2. 화이트 와인 - 쏘비뇽 블랑, 샤르도네 , 머스캇, 리슬링 등등
칠레 와인의 주요 생산 지역은?
칠레의 주요 포도 재배 지역은 남위 27-39도에 있으며 칠레의 날씨는 지중해서 기후지만 기온차가 심합니다.
낮 기온은 덥지만 만년설이 안데스 산맥의 찬 공기로 밤에는 추운 것이 특징입니다.
<레 히온 델 아따까마 , Region del Atacama>
태양열이 강해 당분이 많고 산이 부족합니다. 피스코 브랜디를 주로 생산하며 모스까켈 뻬드로 히메네스 품종을 주로 재배합니다.
<레 히온 델 코낌보 , Region del coquimbo>
주로 피스코를 생산합니다.
<레히온 델 바예 센 뜨랄 , Region del valle Central>
바예 델 마이뽀, 바예 델 라펠, 바예 델 꾸리꼬, 바예 델 마울레 4곳으로 크게 말할 수 있으며 바예 델 마이뽀는 포도재배에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까베르네 쏘비뇽을 주로 재배하며 재배하기 제일 좋은 지역입니다.
<레히온 데 아꽁까구아 , Region del Aconcagua>
바예 델 아꽁까구아 와 바예 델 까사 블랑까로 나뉩니다. 바예 델 아꽁까구아는 일반 와인보다는 블랜딩용으로 와인으많만들며 바예 델 까사 블랑까는 다른 지역보다 포도가 익는 게 1개월 더 느린 특징이 있으며 샤르도네의 재배에 적합합니다.
<레 히온 수르 오 메리 디오 날 , Region Sur Meridianal>
바예 델이 따다는 봄에 서리가 내리지만 이따따강을 따라 샤르도네를 재배하고 서쪽에서는 까베르네 쏘비뇽을 재배합니다. 또한 바 예델 비오비오에서는 칠레 고유의 빠이스와 모스카텔을 주로 재배합니다.
칠레 와인의 등급은?
칠 와인은 등급 체제가 없습니다. 다른 품질의 와인을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는 칠레는 고급 와인의 경우 각자의 와이너리 이름을 붙여서 판매합니다.
와인 테이스팅의 맛? Taste!
와인 테이스팅, 혀로 느끼는 맛? 맛을 느끼는 기본 맛으로는 단맛(Sweet), 신맛(Sour), 짠맛(Salty), 쓴맛(Bitter)로 사람은 이 4가짐 사중에서 단맛을 제일 좋게 느낀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맛,쓴�
yolo87.co.kr
와인 테이스팅(Tasting)에서 제일 중요한 후각 (Odor)
와인 테이스팅의 시각, 후각, 미각중 제일 중요한 후각! 와인을 마실때는 마시기 전에 향을 먼저 맡습니다. 잔을 흔들어 휘발 성분이 나오게 만들어 후각에 미치는영향을 극대화 시키는거죠! 냄�
yolo87.co.kr
와인을 올바르게 보관하는 방법은?
와인 보관법에 따라 와인의 맛이 달라진다? 와인의 올바른 보관 방법! 와인은 만들어진 후 숙성 그리소 숙성후 유지기간 그리고 오래되면서 부패되면서 와인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는데요 이��
yolo87.co.kr
프랑스 와인 좋아하시나요? 프랑스 와인의 특징
프랑스 와인의 특징과 프랑스와인 등급, 와인 원산지 안녕하세요. 와인하면 빼놓을 수 없는 와인이 바로 프랑스 와인입니다. 프랑스 와인을 잘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포도 재배지역과 그 지역의
yolo87.co.kr
'취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트레일리아 와인에 대한 기본지식! (1) | 2020.10.07 |
---|---|
디저트 와인이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볼까요? (1) | 2020.10.06 |
아르헨티나 와인 기초상식편 (0) | 2020.09.26 |
와인 테이스팅의 맛? Taste! (0) | 2020.09.23 |
포르투칼 와인의 역사와 특징, 포트와인 타입과 특징! (2) | 2020.09.22 |